Step1

<자연의 속삭임>

2025.02.25(화) 


'자연에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 것 같지만, 사실 내게는 들려온다.
그런 감각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자연의 소리를 화폭에 어떻게 옮길지 고민한다는 말이 작가의 예술세계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 전시 해설 중-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박광진 화가의 전시 <자연이 속삭임>은 미술관 소장품과 대표작 117점을 선별해 선보였습니다. '탐색: 인물, 정물, 풍경', '풍경의 발견', '사계의 빛', '자연이 소리' 네 가지 주제로 나뉘며, 시기별 작가가 관심을 두었던 사물과 표현 방식의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풍경

박광진 화가는 사실주의적 화풍으로 잘 알려진 손응성의 영향을 받아 불상, 자기, 고궁을 소재로 한 작품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궁궐과 같은 전통적인 공간부터 전당포, 담배가게, 토끼장 등 일상의 풍경들을 화폭에 담아냈습니다. 

박광진, <담배가게>, 1956
박광진, <담배가게>, 1956

1960년대부터 그는 일상과 생활 풍경을 담은 그림에서 점차 풍경화에 집중합니다. 그의 작품에서는 시대별 나무, 꽃과 같은 대상과 물에 비치는 사물의 묘사, 요소마다 다른 붓 터치, 대상간의 거리(원근법), 계절에 따른 색감의 변화를 감상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특히 사계절의 변화를 섬세하게 담아내고, 빛의 표면에 나타나는 윤슬까지 정교하게 표현한 점이 돋보입니다.  

*지곡리 가을, 1983

*북한산의 봄, 1985/ 설악계곡 여름, 1985, 설악의 만추 & 내설악 설경, 1985

자연의 소리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바람 소리가 들려오는 듯한 작품들이 전시된 공간에는, 제주 고유의 자연을 담은 작품들이 펼쳐집니다. 제주 특유의 환경 속에서 자라는 거친 억새와 유채꽃이 어우러진 풍경은 섬세한 붓질로 표현되어, 제주 가을의 빛과 바람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André Rieu의  <Greensleeves> 음악과 함께 작품을 감상하면 그 풍요로움이 한층 깊어지니 음악과 함께 작품을 다시 한 번 감상해 보세요  🎶

*억새 시리즈, 1997

1990년대부터 작가는 작품에 가느다란 수직선을 적용합니다. 반복되는 프랑스 메스(Metz)지역의 유채밭과 유네스코 파리 본부에서 본 헤수스 라파엘 소토(1923-2005)의 줄무니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그는 고요한 순간에 들려오는 자연의 소리와 식물의 줄기를 오선지 악보에 비유해 표현합니다.  


세로 방향의 선들은 개별 음표처럼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개체의 소리를 형상화합니다. 반복되는 선들은 자연 현상의 고유한 리듬과 박자를 담아내며 그의 작품 속 자연을 새롭게 해석하는 방식으로 표현됩니다. 

억새의 소리 23, 1998
억새의 소리 23, 1998

*(좌)자연의 소리, 2014 / (우)포풀러 마을, 2021

참고:

1. 서울시립미술관 작품 해설집

박광진 개인전 <자연의 속삭임>전시가 진행되었던 서울시립미술관 공간정보


🔆 전시기간 :  2024년 12월 12일 - 2025년 02월 09일 / 전시종료

🔆 전시장소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 입장료: 무료

🔆 전시관 접근성: 슬라이딩(미닫이) 형식의 출입문 / 엘리베이터 있음 / 휠체어 수용 가능 / 전시 공간 턱 없음

🔆 2025 전시 정보 보기  (클릭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

💌 문의 사항은 상단 콘텐츠 문의 혹은 메일(ddoingnow@gmail.com)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작품에 담긴 이야기와 주제에 대해 함께 나눌 수 있는 작가님을 찾고 있습니다. 뚜잉 인터뷰 주제 혹은 작가님의 창작 세계를 나누고 싶은 분이시라면, 메일 또는 구글폼(아래 버튼 클릭)을 통해 편하게 연락 주세요. 추천도 환영합니다.  

이 콘텐츠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