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Environment Artist

Rei

3D Environment Artist로 활동하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먼나라에서 3D Environment Artist로 활동하고 있는 Rei라고 합니다. (웃음) 

고등학교 때부터 3D Artist가 되고 싶어 혼자서 공부해왔고 대학교에 관련 전공이 없어서 컴퓨터 공학과에 들어가 혼자서 따로 공부했어요. 지금은 개인작업을 하면서 취업 준비를 하고 있어요. 게임 속 가상세계를 구현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여러 전문적 기능이 필요해 공부할 것이 많네요. 

3D Environment Art에 대해 설명부탁드려요. 


3D Environment Art는 비디오 게임 사업, 영화산업 등 3D 모델을 전문적으로 작업하는 직업이에요. 일반적으로 실제 환경과 같은 환경을 디자인하기도 하고, 게임 속 같은 가상 공간을 디자인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3D environment art라고 하면 게임 속 환경디자인을 생각하는 것 같아요. 



저는 3D 공부를 하다 보니 게임회사에 취업을 하고 싶어 관련 공부를 하고 있는데 플레이어가 화면에서 보게 될 전체적인 환경요소들을 생각한 후 요소들을 하나씩 만들어 나갑니다. 도시 컨셉이 정해지면 그에 필요한 건물, 거리, 나뭇잎, 가구 및 세부적인 요소들을 모델링, 텍스쳐링하고 장면에 배치해요. 또 중요한 부분은 컴포지션입니다. 플레이어가 게임을 할 때 전체적인 배경들이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도록 장면의 요소들을 조정하는 거예요. 

"살고 싶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세계를 보여주고 싶어요"

작업을 하면서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생각해야 할 요소들이 많은 작업을 하다 보니 ‘선택과 집중'이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어떤 부분에 디테일을 더하고 덜할지 등을 정하는 것이랄까요. 워낙 구상해야 할 부분들이 많아서 이런 것들을 먼저 정하고 작업을 하는 편이에요. 그리고 규율적인 것과 창의적인 것의 밸런스를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규율적인 것과 창의적인 것의 밸런스를 맞춘다는 건 어떤 의미 일까요?


일단 작품을 주제를 생각하고 머릿속에 떠올려지는 이미지를 모두 떠올려 정리한 후, 거기서 현실적으로 제가 할 수 
있는 범위를 정하고 일정 기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부분들을 선택해 작업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해요. 
일종의 제 자신과의 협의랄까요. (웃음)


사람들이 작품을 보고 어떤 감정을 느꼈으면 하나요?


제가 만든 세상을 보고 편안함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저기서 살고 싶다, 저기 가고 싶어'라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말이죠. 

너무 가상세계로 느껴지지 않는, 마치 어딘가에는 존재할 것 같은 세상, 살아보고 싶게 만드는 그런 세계를 보여주고 싶어요

혼자 또는 협업을 통해 저만의 그래픽 기술
차별점과 강점을 찾아가고 있어요. 
작업한 작품 중에 인상깊은 작품 소개 부탁드려요.

먼저 '음악'이라는 주제로 자유롭게 표현한 이 작품은 매번 혼자서 작업을 하다 처음으로 누군가와 함께 작품을 만들어 더욱 인상 깊어요. 서로 열정을 가지고 작업을 하다 보니 에너지 드링크를 마시면서 48시간 동안 잠들지 않고 작업에 몰두했었어요. 

지금 생각해도 그때의 열정은 대단했어요. (웃음) 

두 번째 작품은 제 개인 작품 Ruins입니다. 2D 그래픽 디자인을 3D화 시킨 작품으로 3주 정도 소요되었어요. 

이 작품으로 제 작업 과정을 자세히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우선 하나의 구조물을 완성하기 위해서 개체 하나하나 블록으로 분리한 다음 형상을 만들어요. 그다음 스컬프팅(Sulpting)이라고 조각을 해야 하는데 스컬프팅은 요소에 디테일 효과를 더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아래 3번째 그림과 같이 스크래치, 칼집 등 필요한 조각을 내는 작업을 합니다.

그 이후에 foliage card 작업을 합니다. 잎사귀부터 꽃, 나뭇잎, 잔디 등을 만드는 작업을 해요. 이 작업에서의 브러쉬 사용은 포토샵의 브러쉬를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포토샵 브러쉬 효과 패키지와 같은 기능으로 필요할 때 복사해서 쓸 수 있는 용도로 만들어 두는 거죠. 

이제 다 왔어요! (웃음) 질감과 색감 넣기예요. 고밀도 모델을 최대한 저밀도 모델로 바꾸되, 고밀도에서 추출한 노말맵(Normal Map : 미세한 음영, 모양 표현을 위해 쓰이는 이미지)을 저밀도 모델에 써서 작업을 진행하는데 이 방법은 무거운 파일을 최대한 가볍게 바꾸는 방법으로 많은 environment 아티스트들이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예요. 그 이후에 질감과 색감이 들어간 모든 분리됐던 요소들을 한 장면에 결합하여 전체를 완성시켜요. 


       📌  Rei 작업물 구경하기



         📌  Contact




       📌  사용하는 프로그램


  • Blender, ZBrush, Adobe Substance 3D Painter / Designer, Marmoset Toolbag, Rizom UV, Photoshop, Illustrator, Unreal Engine.